Coin News Room

암호화폐 종합뉴스 블로그

[1분요약] 오늘의 뉴스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1.14(화)

CoinNewsRoom 2025. 1. 14. 18:00
반응형

오늘의 주요 뉴스 3가지를 소개합니다.
(정보가 투자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전달 해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oinNewsRoom365

 

코인뉴스룸

안녕하세요. CoinNewsRoom입니다. 코인뉴스룸은 암호화폐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채널입니다.

www.youtube.com


비트코인, 연준 긴축 우려 속 두 달 만에 최저치 기록

비트코인 가격이 월요일 8만 9,800달러(한화 야 1억3,148만 원)로 떨어지며 두 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1월 중순 이후 처음이며, 지난달 최고치 10만 8,000달러(한화 약 1억 5,913만 원)를 기록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시점입니다. 코인베이스의 기관 연구 책임자 데이비드 두옹(David Duong)은 "최근 고용 지표로 인해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며 자산 전반에 압박이 가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비트코인의 1분기 성과에 대해 여전히 신중한 낙관론을 유지하고 있지만, 경로가 순탄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미국 고용 시장의 강세가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낮추며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지난주 미국 노동통계국은 12월 신규 고용이 25만 6,000명으로 예상치인 16만 명을 크게 초과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연준이 올해 예상했던 네 차례의 금리 인하 대신 두 차례로 축소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아비트럼, 보안 강화 위해 BoLD 도입 제안 투표 진행 중

아비트럼(Arbitrum) DAO가 아비트럼 원(One)과 아비트럼 노바(Nova)에 보안 강화를 위한 한정된 유동성 지연(Bounded Liquidity Delay, BoLD) 메커니즘 도입을 제안하는 개선안(AIP)을 투표에 부치고 있습니다. BoLD는 옵티미스틱 롤업의 상호작용형 사기 증명(interactive fraud proofs)을 활용한 분쟁 프로토콜로, 2024년 4월부터 테스트넷에서 가동되고 있습니다. 투표가 승인되면 2025년 2월부터 BoLD가 두 체인에 적용되며, 현재 허가 기반 검증자 시스템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무허가 시스템으로 전환됩니다. BoLD는 아비트럼 체인의 이더리움 메인넷 출금 보안을 강화하고, 고정된 시간 창 내에 분쟁을 해결함으로써 지연 공격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고정 시간은 약 13일의 도전 기간과 2일의 유예 기간을 포함하며, 보안 위원회가 필요 시 개입할 수 있습니다. BoLD의 구현은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미 감사를 받고 테스트를 완료했다고 제안서는 밝혔습니다. 현재까지 커뮤니티의 만장일치 지지를 얻고 있어 도입 가능성이 높습니다. 


애니메코인, 애니메 토큰 토크노믹스 발표

애니메코인(Animecoin) 프로젝트는 이더리움(Ethereum)과 아비트럼(Arbitrum) 네트워크에서 이달 중 출시 예정인 애니메(ANIME) 토큰의 토크노믹스를 발표했습니다. 총 100억 개 토큰 중 50.5%가 커뮤니티에 할당될 예정이며, 이 중 37.5%는 아즈키(Azuki) NFT 커뮤니티에, 13%는 애니메다오(AnimeDAO)가 관리하는 커뮤니티 육성 자금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아즈키 기업은 전체 공급량의 7.44%를 받으며, 3년간 베스팅 및 1년간 락업 조건이 적용됩니다. 초기 기여자 그룹인 아즈키 직원, 계약자 및 고문은 동일한 조건 하에 15.62%를 할당받습니다. 프로젝트 성장을 지원하는 생태계 기금으로 24.44%가 배정되며,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카이토 AI(Kaito AI) 및 아비트럼과 같은 파트너 커뮤니티에 2%가 할당됩니다. 애니메코인 재단은 초기 유통량이 76억 9,000만 개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애니메코인은 아비트럼 재단, 아즈키, 위브3 재단(Weeb3 Foundation)의 협력으로 시작된 프로젝트로, 애니메이션 문화를 블록체인 기반 생태계로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