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요 뉴스 5가지를 소개합니다.
(정보가 투자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전달 해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oinNewsRoom365
코인뉴스룸
안녕하세요. CoinNewsRoom입니다. 코인뉴스룸은 암호화폐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채널입니다.
www.youtube.com
에테나 랩스와 시큐리타이즈, 기관용 블록체인 ‘컨버지’ 출시
에테나 랩스(Ethena Labs)와 시큐리타이즈(Securitize)가 기관 자본 흐름을 지원하고 토큰화 자산을 디파이(DeFi)와 통합하는 레이어1 블록체인 ‘컨버지(Converge)’를 발표했습니다. 에테나 랩스는 3월 17일 공식 발표를 통해 이 네트워크가 허가형 및 비허가형 금융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술 문서는 향후 몇 주 내에 공개되며, 개발자 테스트넷을 거쳐 2분기 중 메인넷이 출시될 예정입니다. 컨버지는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호환 환경을 기반으로 하며, 기관 검증인이 ENA 토큰을 스테이킹하여 네트워크를 운영하게 됩니다. 또한, 에테나 랩스의 스테이블코인인 USDe 및 USDtb가 가스 토큰으로 사용되어 거래를 간소화할 예정입니다. 컨버지는 디파이 생태계, 기관용 금융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시큐리타이즈의 토큰화된 증권을 활용한 금융 상품 등 세 가지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구성됩니다. 주요 파트너로는 아베 랩스(Aave Labs)의 호라이즌(Horizon), 펜들(Pendle), 모르포 랩스(Morpho Labs), 에테리얼(Ethereal), 메이플 파이낸스(Maple Finance)이 있으며, 레이어제로(LayerZero), 파이스 네트워크(Pyth Network) 등 주요 인프라 제공업체도 통합됩니다.
크립토닷컴, 논란 속 700억 CRO 재발행 승인… 투자자 불만 폭발
크립토닷컴(Crypto.com)의 700억 CRO(크로노스) 재발행 제안이 논란 끝에 승인되었습니다. 3월 2일부터 16일까지 진행된 투표에서 찬성 의견이 근소하게 앞섰지만, 정족수 33.4%를 충족하지 못해 부결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그러나 3월 17일 14시(UTC)경, 33억 5,000만 CRO가 찬성표로 추가되며 투표는 가결로 돌아섰습니다. 최종 결과는 찬성 61.18%, 반대 17.61%, 기권 20.11%, 거부권 0.11%였으며, 전체 투표율은 70.18%로 정족수의 두 배를 넘겼습니다. 하지만 크립토닷컴이 직접 운영하는 검증인(validators)이 투표 결과를 좌우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반발이 거셉니다. 한 대형 CRO 보유자는 “마지막 순간에 그들이 투표를 몰아붙였다”며 실망감을 드러냈습니다. 더욱이 투표 종료 하루 만에 크립토닷컴은 5,000만 CRO를 소각하는 새로운 제안을 내놓아 투자자들의 분노를 키웠습니다. 한 검증인은 “700억 개를 다시 찍어낸 후 5,000만 개를 태운다고? 투자자를 기만하는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투표가 통과됨에 따라 크로노스(Cronos) 블록체인은 3월 19일 업그레이드를 통해 700억 개의 신규 토큰을 발행할 예정입니다.
팬케이크스왑, 유니스왑 제치고 DEX 거래량 1위… CAKE 40% 급등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SC)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DEX)인 팬케이크스왑(PancakeSwap)이 24시간 거래량에서 유니스왑(Uniswap)을 제치고 1위를 기록했습니다. 코인게코(CoinGecko)에 따르면, 이로 인해 팬케이크스왑의 거버넌스 토큰 CAKE(케이크)는 하루 만에 40% 급등하며 주간 상승률 57%를 기록, 2.49달러(한화 약 3,600원)에 도달했습니다. 이러한 거래량 증가는 바이낸스가 유럽 규제 문제로 인해 USDT 및 일부 스테이블코인을 상장 폐지한다고 발표한 영향이 큽니다. 이에 따라 바이낸스 이용자들이 USDT를 팬케이크스왑으로 이동시키며 해당 거래소에서만 24시간 동안 3억 4,600만 달러(한화 약 5,000억 원) 이상의 USDT 거래가 발생했습니다. 또한,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에서 밈코인 시장이 다시 활성화되면서 관련 토큰들의 시가총액이 48% 상승해 27억 1,000만 달러(한화 약 3조 9,216억 원)에 달했습니다. 대표적으로 무바라크(MUBARAK) 토큰이 하루 56% 상승하며 한때 시가총액 1억 5,000만 달러(한화 약 2,170억 원)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은 지난 일주일 동안 92억 6,000만 달러(한화 약 13조 원)의 디앱(Dapp) 거래량을 기록하며 이더리움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위믹스, 600만 달러 해킹 인정… 발표 지연에 투자자 반발
위믹스(Wemix) CEO 김석환은 브릿지 해킹 사건을 숨길 의도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2월 28일 발생한 해킹 피해가 공식 발표된 것은 4일 후인 3월 4일이었습니다. 해커는 플레이 브릿지 볼트(Play Bridge Vault)를 공격해 860만 개 이상의 WEMIX(위믹스) 토큰을 탈취했으며, 이를 해외 거래소에서 매도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 대표는 추가 공격 가능성과 시장 혼란을 우려해 발표를 지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해커는 위믹스의 대체불가능토큰(NFT) 플랫폼인 나일(NILE)의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인증키를 탈취해 두 달간 공격을 준비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위믹스 측은 해킹 직후 서버를 차단하고 분석에 나섰으며,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 하지만 발표가 지연되는 동안 시장에서는 불안감이 확산됐고, 위믹스 토큰 가격은 해킹 당일 0.70달러(한화 약 1,012원)에서 3월 4일 0.42달러(한화 약 607원)까지 39% 하락했습니다.
한국은행, 외환보유액에 비트코인 포함 배제… “가격 변동성 우려”
한국은행이 비트코인을 외환보유액에 포함하는 방안을 공식적으로 배제했습니다. 3월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의원의 질의에 대한 답변에서 한국은행은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이 크다는 점을 이유로 외환보유 자산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한국은행이 국가 외환보유액으로서 암호화폐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처음으로 명확한 입장을 밝힌 것입니다. 이 같은 결정은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포함한 전략적 '암호화폐 준비금'을 마련하겠다는 행정명령을 발표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한국은행은 또한 비트코인이 국제통화기금(IMF)의 외환보유 자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강조했습니다. IMF는 외환보유액이 유동성이 높고, 시장성이 있으며, 신용등급이 높은 통화로 구성될 것을 요구하는데, 비트코인은 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설명입니다. 일본 또한 비트코인 외환보유액 포함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일본 총리 이시바 시게루는 지난해 12월 미국 등 주요국의 계획에 대한 정보 부족을 이유로 우려를 표명한 바 있습니다.
'[1분요약] 오늘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3.20(목) (0) | 2025.03.20 |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3.19(수) (1) | 2025.03.19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3.17(월) (0) | 2025.03.17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3.14(금) (0) | 2025.03.14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3.13(목)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