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요 뉴스 4가지를 소개합니다.
(정보가 투자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전달 해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oinNewsRoom365
코인뉴스룸
안녕하세요. CoinNewsRoom입니다. 코인뉴스룸은 암호화폐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채널입니다.
www.youtube.com
미국, 주택담보대출 위험 평가에 암호화폐 보유 인정
미국 연방주택금융청(FHFA)은 6월 25일 자로 패니메이(Fannie Mae)와 프레디맥(Freddie Mac)이 주택담보대출 위험 평가 시 차주의 암호화폐 보유 자산을 적격 자산으로 인정하도록 지시했습니다. 해당 지침은 즉시 발효되며, 두 기관은 암호화폐를 달러로 전환하지 않고도 이를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단, 인정되는 암호화폐는 미국 규제를 받는 중앙화 거래소에 보관된 지갑 내 자산에 한정됩니다. 이 지침은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을 고려한 위험 완화 조치와 준비금 비율 반영도 요구하고 있습니다. 각 기관은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완성된 계획을 FHFA에 제출해야 하며, 계획에는 암호화폐 평가 방식, 헤어컷 적용, 일일 가격 변동 조정 방안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본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을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겠다’는 비전에 따른 것으로, 윌리엄 J. 펄트(FHFA 국장)는 “암호화폐 업계의 역사적인 날”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치는 기존 주택담보대출 규정을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자산 평가 범위를 확대한 조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무너진 zk렌드…해킹 피해자 위해 20만 달러 기금 조성
대출 프로토콜 zk렌드(zkLend)가 6월 25일 공식 X를 통해 운영 종료를 선언하며, 남은 20만 달러(한화 약 2억 7천만 원) 규모의 재무금을 해킹 피해자 지원 기금으로 전환한다고 밝혔습니다. zk렌드는 지난 2월 발생한 보안 사고로 인해 사용자 신뢰가 무너졌으며, 이후 ZEND(젠드) 토큰이 바이비트(Bybit)와 쿠코인(KuCoin)에서 상장 폐지되면서 유동성과 자본 확보가 사실상 불가능해졌습니다. 팀은 다양한 회복 방안을 검토했으나, 시장의 반응과 유동성 부족으로 프로토콜 재출시가 비현실적이라 판단했습니다. zk렌드는 향후 오픈소스로 감사된 코드베이스를 공개할 예정이며, 스테이킹 회수와 잔고 청구는 디파이 스프링 및 복구 포털을 통해 지원한다고 전했습니다. 자금 시장 운영은 중단되지만, 도난 자산 회수를 위한 활동은 계속 이어갈 계획입니다.
니어 인플레이션 50% 감축 제안…토큰 경제 재설계
핫 프로토콜(HOT Protocol)이 6월 24일, 니어 프로토콜(NEAR Protocol)의 연간 토큰 인플레이션률을 기존 5%에서 2.5%로 절반으로 줄이는 제안을 공식 제출했습니다. 이번 제안은 과도한 토큰 공급 증가를 막고, 장기적인 토큰 가치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핫 프로토콜은 NEAR(니어)의 기존 인플레이션 모델이 높은 거래량에서 발생하는 수수료 소각을 전제로 설계됐으나, 실제로는 0.1%만이 소각되며 효과가 미미하다고 밝혔습니다. 연간 6천만 개 이상의 NEAR가 시장에 새로 공급되고 있어, 실사용 증가율과 괴리된 상태라는 것이 핵심 문제입니다. 제안에는 스테이킹 보상을 기존 9%에서 4.5%로 줄이는 방안도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NEAR 기반 디파이 경쟁력 제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니어 공동창립자 일리야 폴로수킨(Illia Polosukhin)은 “AI 시대에서 NEAR가 가치 저장 수단으로 자리 잡기 위한 결정”이라며 강력히 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현재 이 제안은 유효 투표율 66.67%를 요하는 밸리데이터 투표가 진행 중이며, 통과 시 2025년 3분기 중 적용될 전망입니다.
한국 8대 은행,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공동 발행 추진
대한민국 8대 시중은행이 원화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공동 발행을 위해 전례 없는 연합을 구성했습니다. 이번 컨소시엄은 금융감독원 감독 아래 오픈블록체인·DID협회가 조용히 조율한 결과로, 2026년 초 발행을 목표로 시범사업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참여 은행은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 수협은행, 씨티은행코리아, SC제일은행으로, 국내 소매예금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이번 시도는 테라-루나 사태 이후 위축됐던 국내 스테이블코인 환경을 신뢰 회복 중심으로 재구축하겠다는 목적을 담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수탁형 신탁 모델과 은행 자산 직접 연동 모델의 2트랙 방식으로 발행될 예정이며, 한국은행도 은행 주도 발행에 대해 ‘점진적 확대가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1분요약] 오늘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6.28(토) (1) | 2025.06.28 |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6.27(금) (0) | 2025.06.27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6.25(수) (0) | 2025.06.25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6.24(화) (0) | 2025.06.24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6.21(토) (1) | 2025.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