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요 뉴스 4가지를 소개합니다.
(정보가 투자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전달 해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oinNewsRoom365
코인뉴스룸
안녕하세요. CoinNewsRoom입니다. 코인뉴스룸은 암호화폐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채널입니다.
www.youtube.com
저스틴 선 "JST, 완전한 전환 이뤘다"…'차세대 100배 토큰' 자신
트론(TRON) 창립자 저스틴 선(Justin Sun)이 소셜미디어 X를 통해 저스트(JUST) 생태계의 거버넌스 토큰인 JST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밝혔습니다. 선은 최근 게시글에서 JST가 "완전한 펀더멘털 전환"을 이뤘으며 "차세대 100배 토큰"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트론 기반 대출 플랫폼 저스트렌드(JustLend)의 성장과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 USDD의 확산을 핵심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저스트렌드는 트론 블록체인 위에서 운영되며, 기존 이더리움 기반 디파이 플랫폼과 유사한 구조를 갖추면서도 빠른 처리 속도와 저렴한 수수료를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선은 저스트 생태계가 연간 수천만 달러의 순이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향후 1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아울러 생태계 수익을 활용해 JST를 바이백 및 소각하는 계획도 밝혀 토큰 가치를 높이겠다는 전략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트론이 이더리움 디파이 시장에 본격 도전장을 내민 신호로 해석됩니다.
*트론 전체 자금의 75%는 저스트렌드(JustLend) 앱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수이, 그레이스케일 신탁 출시·유럽 결제 확장에 급등…일주일간 60% 상승
수이(SUI) 가격이 지난 일주일 60% 급등하며 3.5달러(한화 약 5,027원)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상승세는 4월 21일 2.11달러(한화 약 3,030원) 저점에서 77% 급등해 4월 25일 장중 최고 3.71달러(한화 약 5,329원)까지 치솟았습니다. 이번 급등은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의 수이 신탁 상품 출시와 x포털(xPortal), x머니(xMoney)와의 전략적 제휴 덕분에 투자자 신뢰가 크게 높아진 결과로 풀이됩니다. 특히, 가상 마스터카드를 통해 250만 명의 유럽 이용자가 2만 개 이상의 가맹점에서 수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실사용 사례가 확대됐습니다. 익명의 애널리스트 카일둡스(Kyledoops)는 "월가(Wall Street)까지 수이 생태계에 진입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수이는 현재 시가총액 기준 아발란체(AVAX)와 체인링크(LINK)를 넘어서는 등 뚜렷한 상승 모멘텀을 보이고 있습니다.
비트와이즈, NEAR 프로토콜 기반 ETF 출시 준비
비트와이즈(Bitwise Asset Management)가 니어(NEAR) 프로토콜의 네이티브 토큰인 NEAR(니어)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ETF 출시를 위한 중요한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 델라웨어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비트와이즈는 지난 24일 '비트와이즈 NEAR ETF'라는 새로운 법인을 등록했으며, 해당 법인은 기업 신탁 서비스로 분류되었습니다. 이 등록은 미국에서 NEAR 기반 현물 ETF를 출시하려는 준비 작업으로 해석됩니다. NEAR는 현재 약 29억 6천만 달러(한화 약 4조 2,558억 원)의 시가총액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33위의 디지털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비트와이즈는 과거에도 도지코인(Dogecoin)과 앱토스(Aptos) ETF를 위해 유사한 델라웨어 신탁을 등록한 바 있어, 이번 NEAR ETF도 조만간 SEC에 S-1 서류를 제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블랙록, 토큰화된 미국 국채 시장에서 88% 차지…상위 6개 펀드 집중
토큰화된 실물 자산을 추적하는 플랫폼 RWA.xyz의 새로운 데이터에 따르면, 전체 토큰화된 미국 국채의 88%가 단 6개 펀드에 의해 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가장 큰 발행자는 블랙록(BlackRock)으로, 그들의 토큰화된 미국 국채 펀드인 BUIDL은 25억 달러(한화 약 3조 5,970억 원)의 시가총액을 자랑하며, 두 번째로 큰 펀드보다 360% 높은 규모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블랙록은 25년 1분기 기준으로 총 11.6조 달러(한화 약 1경 6,690조 원)의 자산을 관리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그 외 상위 6개 펀드는 프랭클린 템플턴의 BENJI(7억 700만 달러), 슈퍼스테이트의 USTB(6억 6,100만 달러), 온도의 USDY(5억 8,600만 달러), 서클의 USYC(4억 8,700만 달러), 온도의 OUSG(4억 2,400만 달러)입니다. 이들 6개 펀드는 전체 토큰화된 미국 국채의 8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 들어 상위 펀드들의 시가총액은 집중화되었으며, 서클의 USYC만 최근 몇 달간 시가총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BUIDL은 올해 초부터 4월 24일까지 291% 성장하며 전체 토큰화된 미국 국채 시장에서 41.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분요약] 오늘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4.30(수) (0) | 2025.04.30 |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4.29(화) (0) | 2025.04.29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4.25(금) (0) | 2025.04.25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4.24(목) (0) | 2025.04.24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4.23(수) (1)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