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 News Room

암호화폐 종합뉴스 블로그

[1분요약] 오늘의 뉴스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3.04(화)

CoinNewsRoom 2025. 3. 4. 12:56
반응형

오늘의 주요 뉴스 5가지를 소개합니다.
(정보가 투자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전달 해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oinNewsRoom365

 

코인뉴스룸

안녕하세요. CoinNewsRoom입니다. 코인뉴스룸은 암호화폐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채널입니다.

www.youtube.com


미국, 국가 암호화폐 준비금 구성 발표… 업계 반응 엇갈려  

미국 정부가 전략적 암호화폐 준비금을 설립하기로 하면서 업계 내 논쟁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월 2일 행정명령을 통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솔라나(SOL), 카르다노(ADA) 등으로 구성된 준비금을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비트코인 단독 준비금이 더 적절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비트와이즈(Bitwise) CEO 헌터 호슬리와 코인베이스(Coinbase)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은 비트코인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이라며 단일 자산 중심 전략이 더 적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리플(Ripple)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와 카르다노(Cardano) 창립자 찰스 호스킨슨은 멀티체인 시대를 고려한 결정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 발표에서 XRP, SOL, ADA를 먼저 언급한 점이 논란이 되었습니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 CEO 기영주는 "암호화폐가 점점 미국의 전략적 무기가 되어가고 있다"며 정치적 의도를 시사하는 발언을 남겼습니다. 


백악관, 첫 암호화폐 서밋 개최… 업계 반응 엇갈려  

백악관이 3월 7일 첫 암호화폐 서밋을 개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주요 암호화폐 기업의 창업자, CEO, 투자자들이 참석하며, 대통령 직속 디지털 자산 실무 그룹도 함께할 예정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직접 연설을 진행하며, 백악관 인공지능 및 암호화폐 담당 수석 데이비드 삭스(David Sacks)가 회의를 주재합니다. 백악관은 이번 서밋을 통해 명확한 규제 환경을 조성하고 암호화폐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러나 일부 비트코인 지지자들은 이번 서밋이 의미 있는 논의보다는 ‘밈코인’ 중심의 이벤트가 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전 개최한 ‘크립토 볼(Crypto Ball)’ 행사에서 밈코인이 급등 후 폭락한 사례를 떠올리며 신뢰도를 의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크로노스, 70억 CRO 토큰 복원 제안… 커뮤니티 강한 반대  

크로노스(Cronos)가 2021년 소각된 70억 개의 CRO(크로노스) 토큰을 복원하는 제안을 두고 커뮤니티의 강한 반대에 직면했습니다. 민트스캔(Mintscan)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까지 투표에 참여한 5억 개 이상의 CRO 토큰 중 87%가 반대표를 던졌습니다. 해당 제안은 ‘크로노스 전략적 준비금’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승인될 경우 CRO 총 공급량은 다시 1,000억 개로 복귀하게 됩니다. 크로노스 개발팀은 이 계획이 장기적 성장 전략과 부합하며, 10년간 단계적으로 토큰을 배포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커뮤니티 반발은 거셉니다. 한 크로노스 지지자는 “소각된 토큰을 부활시키는 것은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라며 중앙화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반면, 제안 논란 속에서도 CRO 가격은 15% 급등하며 0.08434달러(한화 약 117원)를 기록했습니다. 


에이브, 팬텀 기반 ‘소닉’에 첫 레이어1 확장…수익 모델 강화  

대출 플랫폼 에이브(Aave)가 고성능 블록체인 소닉(Sonic)에서 대출 시장을 정식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소닉은 팬텀(Fantom)에서 발전한 네트워크로, 24년 12월 메인넷을 출시했습니다. 에이브의 이번 확장은 올해 첫 레이어1 진출로, ACI(Aave Chan Initiative)의 거버넌스 제안이 승인된 후 진행되었습니다. 소닉의 차별화된 수익 모델은 개발자가 트랜잭션 수수료 일부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에이브도 추가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또한, 소닉 재단은 에이브의 확장을 지원하기 위해 1,500만 달러(한화 약 218억 원)와 소닉 네이티브 토큰 5,000만 개, 80만 달러(한화 약 11억 원) 상당의 스테이블코인을 지원합니다. 현재 에이브는 이더리움 및 다양한 레이어2 솔루션, 아발란체, BNB체인 등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레이어2 ‘베이스’, 트랜잭션 속도 10배 향상 기술 공개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인 베이스(Base)가 블록체인 확장성과 사용성을 개선할 세 가지 혁신 기술을 공개했습니다. 2월 27일 발표된 블로그에 따르면, 이번 업데이트는 ‘플래시블록(Flashblocks)’, ‘스마트 월렛 서브 계정(Smart Wallet Sub Accounts)’, ‘베이스 앱체인(Base Appchains)’으로 구성됩니다. 플래시블록은 트랜잭션 처리 시간을 기존 2초에서 200밀리초로 단축하는 기술로, 솔라나(Solana) 및 셀레스티아(Celestia)의 블록 전파 방식을 참고해 개발됐습니다. 베이스 앱체인은 OP 스택을 기반으로 한 레이어3(L3) 솔루션으로, 맞춤형 가스 토큰 및 수수료 구조를 설정할 수 있어 확장성이 뛰어납니다. 또한, 스마트 월렛 서브 계정은 하나의 인터페이스 내에서 다중 지갑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을 강화하고 트랜잭션 경험을 개선하는 기능입니다. 현재 플래시블록은 세폴리아(Sepolia) 테스트넷에서 검증 중이며, 모든 기능은 24년 2분기 메인넷 출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베이스는 현재 주간 활성 주소 461만 개를 처리하며, 레이어2 활동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