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요 뉴스 4가지를 소개합니다.
(정보가 투자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전달 해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oinNewsRoom365
코인뉴스룸
안녕하세요. CoinNewsRoom입니다. 코인뉴스룸은 암호화폐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채널입니다.
www.youtube.com
바이낸스, MOVE 토큰 덤핑한 시장 조성자 적발
바이낸스가 무브먼트(Movement) 프로젝트의 시장 조성자가 MOVE(무브) 토큰을 대량 매도한 혐의를 포착하고 해당 자산을 동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바이낸스에 따르면, 해당 시장 조성자는 지난 12월 10일 MOVE 토큰 상장 후 하루 만에 약 6,600만 개를 매도하며 3,800만 USDT(한화 약 557억 원)의 수익을 거뒀습니다. 이 시장 조성자는 과거 GPS와 SHELL 프로젝트에서도 비정상적인 거래 행태를 보여 3월 9일 바이낸스에서 퇴출된 바 있습니다. 이에 바이낸스는 무브먼트 랩스(Movement Labs) 및 무브먼트 네트워크 재단(Movement Network Foundation)에 관련 사실을 통보하고, 해당 수익을 사용자 보상을 위해 동결했다고 밝혔습니다. 무브먼트 네트워크 재단은 해당 시장 조성자가 계약을 위반했으며, 이를 인지한 즉시 모든 관계를 단절하고 바이낸스와 협력해 자금을 회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재단은 동결된 3,800만 USDT를 활용해 '무브먼트 전략적 준비금(Movement Strategic Reserve)'을 조성하고, 향후 3개월간 MOVE 토큰을 공개 시장에서 매입할 계획입니다.
하이퍼리퀴드, 하이퍼코어와 하이퍼EVM 연동으로 디파이 개발 환경 개선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가 메인넷에서 하이퍼코어(HyperCore)와 하이퍼EVM(HyperEVM)을 연동해 디파이(DeFi) 개발 환경을 개선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이퍼코어는 하이퍼리퀴드의 레이어1 네트워크 및 고성능 거래 생태계의 기반이며, 하이퍼EVM은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호환 디앱 개발을 지원하는 환경으로 지난 2월 출시되었습니다. 이번 연동을 통해 개발자는 하이퍼리퀴드의 네이티브 토큰인 HYPE(하이퍼리퀴드)를 포함한 하이퍼코어 자산을 양 시스템 간 전송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스팟전송(spotSend action)’ 기능 또는 프로토콜의 프론트엔드 인터페이스를 활용해 자산을 변환할 수 있으며, EVM 측에서는 ERC-20 전송 기능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이퍼리퀴드 팀은 메인넷 연동 전 테스트넷에서 충분한 검증을 진행할 것을 권장하며, 시스템 주소의 잔고 부족 가능성과 ERC-20 수신 계약 검증 미비에 대해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미국 은행 최초의 공공 블록체인 기반 스테이블코인 출시
미국의 커스토디아뱅크(Custodia Bank)와 밴티지뱅크(Vantage Bank)가 공공 블록체인에서 최초로 은행 지원 스테이블코인 ‘아빗(Avit)’을 발행했습니다. 3월 25일 발표된 보도자료에 따르면, 해당 스테이블코인은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ERC-20 표준을 기반으로 테스트 거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아빗 토큰의 발행, 전송, 그리고 미국 달러로의 상환 과정을 포함한 총 8건의 거래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커스토디아뱅크는 아빗 토큰의 발행 및 관리 시스템을 운영했으며, 밴티지뱅크는 달러 준비금을 보유하고 기존 은행 결제 네트워크와의 연계를 담당했습니다. 이는 기존 스테이블코인이 전통 금융 시스템 밖에서 운영되는 것과 달리, 완전히 규제된 은행 환경 내에서 이루어진 첫 사례입니다. 양사는 미국 은행비밀법(BSA), 자금세탁방지법(AML), 해외자산통제국(OFAC) 규정을 준수하며, 연방은행 기준에 맞춘 문서와 절차를 개발했습니다. 이번 실험을 통해 미국 은행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 결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앙드레 크론예,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개발 시사… 테라 사태 재현될까?
소닉 랩스(Sonic Labs) 공동 창립자인 앙드레 크론예(Andre Cronje)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개발을 암시하며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크론예는 3월 21일 X에서 "우리 팀이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을 완벽하게 해결한 것 같다"면서도 "지난 사이클에서 너무 큰 PTSD를 겪어 실제 구현할지 고민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은 테더(USDT)나 USDC처럼 현금이나 현금 등가물로 직접 담보되지 않고, 온체인 메커니즘을 통해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크론예가 언급한 PTSD는 2022년 테라USD(UST) 붕괴로 촉발된 시장 위기를 의미합니다. 크론예의 발언 이후 업계 반응은 엇갈렸으며, 일부는 새로운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의 등장이 시장에 또 다른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반면 크론예는 3월 22일 “확대 개발을 위해 팀을 구성할 것”이라고 밝혀, 해당 프로젝트가 현실화될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1분요약] 오늘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3.28(금) (0) | 2025.03.28 |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3.27(목) (1) | 2025.03.27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3.25(화) (0) | 2025.03.25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3.24(월) (0) | 2025.03.24 |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3.21(금) (1)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