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 News Room

암호화폐 종합뉴스 블로그

[1분요약] 오늘의 뉴스

[1분요약]오늘의 코인뉴스 2025.05.13(화)

CoinNewsRoom 2025. 5. 13. 18:00
반응형

오늘의 주요 뉴스 6가지를 소개합니다.
(정보가 투자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전달 해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oinNewsRoom365

 

코인뉴스룸

안녕하세요. CoinNewsRoom입니다. 코인뉴스룸은 암호화폐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채널입니다.

www.youtube.com


비트코인, 미·중 무역 완화 호재

비트코인이 5월 13일 오전 강세 흐름을 보이며 1.7% 상승해 105,705달러(한화 약 1억 4,891만 원)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월 사상 최고가인 109,356달러(한화 약 1억 5,404만 원)에 근접한 수치로, 최근 한 달간 횡보세를 끝내는 움직임입니다. 이번 급등은 미·중 양국이 상호 관세를 115% 인하하는 90일 유예에 합의했다는 BBC 보도와 맞물려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줄어들며 금은 1.4% 하락했고, 반면 WTI 유가는 1.5% 상승하는 등 리스크 자산에 대한 선호가 커졌습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비트코인은 방어적 자산에서 매크로 베타 자산으로 재분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내 비트코인 현물 ETF 누적 유입액이 410억 달러(한화 약 57조 원)를 돌파하며, 현재 채굴 속도의 6배 수준으로 코인을 흡수하고 있는 점도 가격 상승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SEC, 암호화폐 규제 대전환 예고…3단계 개혁안 발표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폴 앳킨스(Paul Atkins) 위원장이 암호화폐 자산 정책의 전면 개편을 예고했습니다. 5월 12일 열린 SEC 암호화폐 태스크포스 라운드테이블에서 앳킨스 위원장은 발행, 보관, 거래를 포괄하는 3단계 개혁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그는 암호화폐 기반 자산이 음악 산업의 MP3처럼 자본시장에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디지털 자산에 맞춘 ‘합리적 규제 체계’ 수립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과거 불확실한 집행 중심의 접근에서 벗어나겠다고 밝혔습니다. 보관 측면에서는 기존 회계 지침을 철회하고, 셀프 커스터디 등 새로운 방식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규정을 재정비할 방침입니다. 거래 부문에서는 중개업체가 암호화폐와 기존 자산을 통합 제공할 수 있도록 예외 허용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앳킨스 위원장은 미국이 암호화폐 혁신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규제 혁신이 필수라고 강조했습니다.


코인베이스, S&P 500 편입 확정…미국 최초 상장 암호화폐 거래소의 쾌거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 티커 COIN)가 오는 5월 19일부로 미국 대표 주가 지수 S&P 500에 공식 편입됩니다. CNBC 보도에 따르면, 코인베이스는 디스커버 파이낸셜(Discover Financial Services)을 대체해 지수에 포함되며, 이 소식에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8% 급등해 226달러(한화 약 31만 원)를 기록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21년 4월 14일 나스닥에 직접 상장한 이후, 미국에서 가장 큰 순수 암호화폐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현재 시가총액은 약 530억 달러(한화 약 74조 원)입니다. 이번 편입은 25년 1분기 5억 2,700만 달러(한화 약 7,433억 원)의 조정 순이익을 기록하는 등 최근 5분기 연속 실적 성장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이는 규제 완화 분위기 속에서 경쟁 거래소인 불리시(Bullish), 제미니(Gemini), 크라켄(Kraken) 등도 상장을 검토 중이라는 점과 맞물려 시장 확대에 긍정적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S&P 500 내에서는 블록(Block), 페이팔(PayPal), 비자(Visa) 등도 암호화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코인베이스는 순수 암호화폐 거래소로는 최초로 편입되는 사례입니다.


유니스왑, 사상 첫 누적 거래량 3조 달러 돌파

탈중앙화 거래소 유니스왑(Uniswap)이 누적 거래량 3조 달러(한화 약 4,232조 원)를 달성하며 사상 처음으로 이정표를 세웠습니다. 창립자 헤이든 아담스(Hayden Adams)는 5월 12일 X를 통해 이 성과를 공유하며 듄 애널리틱스(Dune Analytics) 대시보드의 스크린샷을 첨부했습니다. 유니스왑의 하루 거래량은 현재 33억 달러(한화 약 4조 6,596억 원) 수준이며, 이는 전체 DEX 중 23%의 점유율로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위는 팬케이크스왑(PancakeSwap)으로, 거래량은 27억 달러(한화 약 3조 8,124억 원)에 달합니다. 한편, 유니스왑은 7702 지갑을 자체 출시할 예정이며, 이는 최근 이더리움의 펙트라(Pectra) 업그레이드와 함께 적용된 EIP-7702를 기반으로 합니다.


펌프펀, 토큰 창작자에 수익 배분

솔라나(Solana) 기반 밈코인 플랫폼 펌프펀(Pump.fun)이 5월 12일 토큰 창작자를 위한 수익 공유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로 창작자들은 펌프스왑(PumpSwap)에서 발생한 거래량의 0.05%를 솔라나로 수령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수익을 받기 위해서는 토큰이 신규 생성되었거나, 펌프펀의 본딩 커브 상에 있거나, 펌프스왑으로 이전된 상태여야 합니다. 과거 거래량에는 소급 적용되지 않으며, 5월 12일 이후 거래만 보상 기준에 포함됩니다. 수익은 창작자 지갑을 통해 언제든 온체인에서 청구할 수 있으며, 락업이나 최소 조건은 없습니다. 이번 정책은 밈코인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는 솔라나 생태계 내 창작 유인을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파이 네트워크, 일주일 만에 110% 급등…생태계 발표 기대감에 ‘급부상’

파이 네트워크(PI)의 토큰이 최근 일주일간 110% 이상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4월 0.40달러(한화 약 565원)까지 하락했던 PI는 최근 1.53달러(한화 약 2,161원)까지 치솟았습니다. 이로 인해 시가총액은 약 40억달러(한화 약 5조 6,520억 원)에서 110억달러(한화 약 15조 5,430억 원)로 상승했습니다. 시장에서는 미국과 영국, 중국 간 무역 완화 분위기와 함께 암호화폐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 개선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특히 PI는 5월 14일로 예정된 생태계 발표를 앞두고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개발자 도구 출시, 파트너십, 사용자 보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는 관측이 커지며 거래량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다만, 프로젝트의 구조와 정당성에 대한 논란, 대규모 토큰 언락 예정 등 리스크 요인도 여전합니다. 전문가들은 단기 급등 이후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728x90